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파월 발언 영향?…미 은행 시가총액 68조 이상 증발

2023-03-10 1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파월 발언 영향?…미 은행 시가총액 68조 이상 증발<br /><br /><br />미국 4대 은행에서 하루 사이에 우리 돈으로 68조가 넘는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했습니다.<br /><br />실리콘밸리의 금융회사가 대규모 증권 매각을 발표한 것이 도화선이 됐지만,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발 금리 인상 공포가 배경이 되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미국의 4대 은행 시가총액이 하루 사이에 우리 돈으로 약 68조 이상 증발했습니다. 주가가 폭락한 직접적인 이유로 대규모 증권 매각을 발표한 실리콘밸리의 한 금융회사가 꼽히고 있는데 무슨 일이 있었던 건가요?<br /><br /> 은행주가 급락한 직접적인 원인이 SVB 파이낸셜이라면 불씨의 배경엔 연준발 '금리 인상 공포'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기침체가 촉발될 수 있다는 염려가 주가를 끌어내린 걸까요?<br /><br /> 은행주들이 급락하면서 밤사이 뉴욕증시도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. 투자자들은 우리 시간으로 오늘 밤 발표될 미국의 2월 고용보고서를 주시하고 있는데 조금의 열기라도 감지되면 연준이 빅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은 거죠? 어떤 지표를 가장 눈여겨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한편, 가상화폐 시장에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. 가상화폐 전문은행인 '실버 게이트'가 자체 청산을 선언했기 때문인데 여파는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금융권에 악재들이 겹치며 미국 금융 시스템 전체의 위기감도 고조되고 있습니다. 미국 금융시스템에 금이 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 지나친 걱정일까요? 우리 금융시장 여파는 어떨까요?<br /><br /> 정부가 중고차 허위 매물 피해·의심 사례를 신고받고 집중 단속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이른바 '미끼' 매물로 청년이나 서민들의 피해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인데요. 허위 매물 사례, 대표적으로 어떤 게 있나요?<br /><br /> 국토부와 경찰청은 허위매물 단속과 관련해 공조체계를 구축하고, 위반 사항 확인할 경우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 했는데 이번에야말로 중고차 허위매물로 인한 피해가 근절될 수 있을까요? 효과는 어떻게 예상하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